반응형 메인 스트리트78 변화하는 금리와 우리가 취해야 할 태도 요즘 금리가 계속 오르는 추세로 향해가고 있습니다. 미국 기준금리가 22년 만에 최고치를 달성한 오늘 금리가 내렸으면, 하는 바람을 누구나 가지고 있습니다. 금리가 내려가기 이전에는 역사적인 사건이 발생했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위 사진은 경제·사회적으로 큰 이슈가 있었습니다. 그 후 금리가 하락 했습니다. 걸프전부터 코로나까지 세계경제가 흔들리는 시기였습니다. 눈에 띄는 것은 2008년 서브프라임 모기지 사태를 기점으로 저금리가 가장 오래 지속되었습니다. 그리고 기준금리가 전체적으로 낮은 기조를 유지하고 있습니다. 즉, 경제·사회적 사건으로 인하여 기준금리가 한번 떨어지고 다시 올라갈 때, 그 이전보다 더 높이 올라가지 않았습니다. 하지만 코로나 이후, 코로나 전 과 서브프라임 모기지 사태 이전의 .. 2023. 9. 21. 금리가 우리에게 미치는 영향 2022년 3월부터 조금씩 오른 금리는 현재 5.5%로 매우 빠르게 상승했습니다. 금리는 돈에 대한 시간가치 입니다. 즉, 100만 원을 지금 받을지, 1년 뒤 100만 원을 받을지 선택할 수 있다면 모든 사람들이 지금 100만 원을 선택할 것 입니다. 만약 1년 뒤 150만 원으로 받는다면, 사람마다 선택이 나뉘게 될 겁니다. 이 처럼 돈에 대한 시간선호 현상을 숫자로 나타낸 것이 금리입니다. 옛날 사람들도 돈을 빌려줄 때 이자를 받고 빌려줬습니다, 왜냐하면 이 돈을 A라는 사람에게 빌려주지 않고 내가 다른 곳에 투자나 상업활동을 하는 데 사용한다면, 이 돈이 100만 원 이상이 될 수 있다는 사실과 A라는 사람이 돈을 갚지 않을 위험이 있기 때문에 채권자와 채무자 간에 이자는 필수불가결한 요소였습니다.. 2023. 9. 20. 초인플레이션의 발생 이유와 시민들이 감당해야 하는 것들 초인플레이션의 정의는 하루 물가상승률이 1%를 넘어 매달 인플레이션율이 50%를 초과하는 경우를 말한다. 그러니까, 저번 달 점심 1끼 값이 8천 원이었으면, 이번달은 1만 2천 원이 되고 다음 달은 1만 8천 원이 됩니다 상상만 해도 으스스 떨려옵니다. 이 처럼 초인플레이션이 왜 발생하는지, 그리고 우리가 감당해야 하는 것들이 무엇인지 알아보겠습니다. 저번 포스팅에 밀턴 프리드먼이 말한 "인플레이션은 언제 어디서나 화폐적 현상"이라고 했었습니다. 그럼 이 말이 맞는지 초인플레이션을 겪었던 나라들의 당시 화폐량과 인플레이션율의 그래프로 살펴보겠습니다. 위 그래프에서 오스트리아와 헝가리는 1921년대에 인플레이션이 급격히 상승했습니다. 1921년에는 무슨 일이 있었던 것이 분명합니다. 바로 제1차 세계대전.. 2023. 9. 19. 인플레이션과 이자율 그리고 피셔효과 저번에 포스팅 한 인플레이션과 긴축정책(금리 상승)에 대해 간략하게 이야기했습니다. 이번에는 조금 더 자세하게 인플레이션과 이자율 그리고 피셔효과에 대하여 포스팅하겠습니다. 1. 실질 이자율과 명목 이자율 명목 이자율은 은행이 지불하는 이자율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예적금 금리로 인한 이자율 지급). 실질 금리는 구매력의 증가 즉, 명목 이자율에서 인플레이션율을 빼면 실질 이자율을 계산할 수 있습니다. 아래와 같이 예를 들어 보겠습니다. 여러분이 7% 금리로 저축을 한다고 가정하면, 1년 뒤 100만 원이 107만 원이 됩니다. 그러면 여러분은 1년 뒤 7%만큼 부유해졌다고 할 수 없을 겁니다. 오늘 쌀 값이 5만 원이었는데, 1년 뒤 쌀 값이 10만 원이라면, 107만 원을 받은 오늘 7%만큼 부유해졌.. 2023. 9. 18. 이전 1 ··· 15 16 17 18 19 20 다음 반응형